GIO 중에 open drain 속성의 포트를 컨트롤 시에

꼭 확인, full-up.

GPS, CDMA, 2.4GHz RF, Accelerometer,
.. 이중정적분과 중력가속도 필터링..

칼만 어쩌구 필터를 써야 된다는군..
Q.
finding distance traveled from accelerometer readings
Hi There,

I would appreciate any suggestions you have..

I've got a sparkfun serial tri-axis accelerometer
SparkFun Electronics - Serial Accelerometer Tri-Axis v5 - Dongle

I would like to look at only the x axis data and over a given timeframe find the distance traveled from the accelerometery data.

It outputs..
X=-0.983 Y=1.227 Z=-0.007
X=-0.987 Y=1.223 Z=-0.013
...
at an adjustable 250x per second

These units are in g's, 1g = 9.8m/s^2

What method can I use to take these readings as they come in and at the end of the time period have single number for the distance traveled (m)?

Any ideas most welcome. Thanks




A.
Well what you have are a periodic string of acceleration readings from the device between (0-590 Hz), so by recording the values over a period of time, you are essentially plotting an acceleration-time graph, for the x direction.

So what you need your software to do iis start recording data at a specified time t_a, and finish recording at another specified time t_b. Then to get back to the distance travelled, you need to integrate twice between t_a and t_b.

Numerical integration is what pops to mind, (which would be very staightforward, knowing your fequency, and each of your acceleration values) but you'd need to integrate twice, so I'm not too sure there is a method for this.

All I can think is to somehow interpolate the points as a function A(t) (which I can see being difficult), and then calculate \int_{a}^{b}\int A(t) dt^2.

Maybe someone else knows of some better methods. (You might do well to ask about it on a programming forum)






LG W2361V 23인치 와이드 구입.


TN패널이라는 게 좀 걸리긴 했었지만, 막상 사용하는 데 부족함이 없다.
대단히 넓다~ 기존에 쓰던 19인치가 상당히 좁게 느껴진다.
회사 개발 환경(19 + 19W)보다 집 컴이(23W + 19W) 훨씬 좋아지게 됐다.

지름 뒤에 오는 왠지 모를 뿌듯함.. 큰일이다.. +_+;;;

항상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것.

memory를 alloc 했으면 초기화를 꼭하자..

grobal var 도 마찬가지다.

* 실제로 어떤 컴파일러는 local, grobal 가리지 않고
초기화를 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multimedia player에 TTA codec 포팅 완료.
전에 gsplayer용 plugin을 만들어 봤기 때문에 며칠 안 걸려 끝냄.

CVS에 commit 이후 테스트 도중 기존 Codec (library로 된것) 하고 충돌 현상 발견.
일부 코덱 재생 시에 멀티미디어 플레이어가 뻗음. ->

(memory 쪽으로 예상)
stack -> heap 교체 ( 효과없음 )
C++ -> C 교체 ( 효과없음 )

기존에 포팅한 FLAC, APE 와는 잘 동작.

근데 하필 library,,;;
이참에 그것도 확... 포팅.. 하자니 라이센스가 걸리고,, 

TTA 해결 이후에는

MPC Codec Porting예정.

-----------> 해결. include header의 순서...가  mp3 library 의 header 다음에 tta header를 include 해줘야 한다.


Bluk 전송 형식으로 Endpoint 3개 짜리의 간단한 WinCE용 드라이버를 만들었는데,
역시 USB Explorer 장비 없이 USB 드라이버 부분은 손대기 힘들다,,
회사가서 마무리 지어야 겠다.

-문제-
*.XP -> WinCE Target으로 전송되는 Data가 특정 Size 이상이면 왜곡이 되는 증상이 있다.
*.WinCE에서 COM + Image Decoder(WinCE 내장)을 썼는데 디코딩 속도가 기대 이하다.
  (DSP 사용하도록 수정해야 겠음.)

Ellisys USB Explorer 200 USB 2.0 Protocol Analyzer


참고: 헤더 include 시에
#include <initguid.h>
#include <imaging.h>
처럼 순서를 지켜야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에러가 나지 않는다.



gstta plugin 저장을 위해 sourceforge에 account 및 project 를 생성했다.
project 등록 신청시 200자 이상의 상세한 내용을 작성해야 하며,
운영팀에게서 승인 절차를 받고 나서야 아래와 같은 승인 결과 메일을 받을 수 있다.
Approve된 이후에는 project를 마음껐 진행하면 된다.


*Sourceforge는 대표적인 Open Source Software Project 제공 사이트다.
사용자가 등록한 Project 결과물을 Binary 및 Source 로 내려받을 수 있으며,
이곳은 온라인 상에서 공동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각종 편의도 제공한다.



회사 제품에 유투브 FLV 동영상을 바로 재생해보면 재미 있을 듯 해서,
약  하루 하고 반나절 정도 걸려서 FLV 파서(splitter)를 완성했다.

Video / Audio / Meta data 를 추출해내는 파서를 만들고,
추출된 Frame들을 tartget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디코더에 연결했다.

* 현재 파싱된 오디오 프레임은 정상적으로 재생된다.
(소리가 약간씩 끊기는 부분은 HDD쪽 버퍼링을 넣으면 될 듯하고,,)
문제는 비디오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디코딩 되지 않아 화면이 나오지 않고 있다.
,,;;; 즉.. 소리만 나는거다.

이유는
standard H.263과 sorenson H.263 코덱 자체가 프레임 헤더 및 프레임 구조가 많이 다르기 때문.
Standard H.263에서 제거되어 Sorenson H.263에 없는 것.
- GOB (group of blocks) layer
- Split-screen indicator
- Document camera indicator
- Picture freeze release
- Syntax-based arithmetic coding
- PB-Frames
- Continous presence multipoint
- Overlapped block motion compensation

Sorenson H.263에 추가되어 Standard H.263에는 없는 것.
-Disposable frames (difference frames with no future dependencies)
-Arbitrary picture width and height up to 65535 pixels
-Unrestricted motion vetor support is always on
-A deblocking flag is available to suggest the use of a deblocking filter

                                * ITU H.263 Video Coding Standard 관련 문서를 첨부한다.
                                 * Adobe 제공 Flash9, FLV file format Spec Documment.

현재 타겟이 DSP에서 standard h.263 decoding을 지원하니, 프레임 헤더나 프레임을
파싱 시에 살짝 바꿔서 standard h.263 디코딩을 이용하도록 해보려 했지만 어렵고..
아무래도 sorenson h.263 코덱을 arm 에서 돌리도록 해봐야겠다.

주요 decoding 부분을 arm asm으로 구현하고, resolution도 대부분이 320x240 전후 이니
어쩌면 A/V Sync가 밀리지 않을 정도의 퍼포먼스가 나올 수도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 아래에 FLV와 관련한 내용을 정리한다.

FLV 컨테이너는 macromedia사에서 flash player plugin용으로 개발했다.
내부 비디오 코덱은 최초 Screen video 코덱을 이용하다가
VP6 코덱을 거쳐 현재는 h.263코덱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flash player10 버전에서는  h.264 코덱을 사용한 HD무비를 웹을 통해 스트리밍 한다.
480p(848x520), 720p(1280x760), 1080p(1920x1080)
(macromedia사는 adobe사에 인수되었다.)
http://www.adobe.com/products/hdvideo/hdgallery/ <- HD 무비 샘플을 볼 수 있다.


flv 컨테이너가 지원하는 A/V 코덱 종류는 다음과 같다.
비디오.
1: JPEG (currently unused)
2: Sorenson H.263
3: Screen video
4: On2 VP6
5: On2 VP6 with alpha channel
6: Screen video version 2
7: AVC

오디오.
0 = Linear PCM, platform endian
1 = ADPCM
2 = MP3
3 = Linear PCM, little endian
4 = Nellymoser 16-kHz mono
5 = Nellymoser 8-kHz mono
6 = Nellymoser
7 = G.711 A-law logarithmic PCM
8 = G.711 mu-law logarithmic PCM
9 = reserved
10 = AAC
14 = MP3 8-Khz
15 = Device-specific sound
* 현재 웹상의 대부분의 flv는 VP6 또는 h.263 + mp3 의 조합 형태다.
* adobe에서는 h.264를 점차적으로 확대 진행 중이다.
* 번호가 순차적이지 않은 것은 adobe spec이다.


파싱에 있어서,
naver나 daum의 flv 와 youtube의 flv는 meta tag 부분이 약간 다르다.
메타태그 index들..

  • duration: (Number) Length of the FLV in seconds. FLVMDI computes this value.
  • lasttimestamp: (Number) TimeStamp of the last tag in the FLV file.

    (You may think as 'duration = lasttimestamp + estimated or calculated duration of the last tag'. This is not exactly true though; FLVMDI calculates/estimates duration for last Audio and Video tags separately and uses the appropriate value for the duration. With version 2.0, FLVMDI is more conservative and duration will be equal to lasttimestamp more than 1.x version).
     
    NetStream.Time will not return the duration, or the actual time as one might expect. It returns the position of the PlayHead which can only be a timestamp in the FLV file (see Position of the PlayHead). So, lasttimestamp value is useful for detecting the end of the FLV more than the duration value.
     
  • lastkeyframetimestamp: (Number) TimeStamp of the last video tag which is a key frame. This info might be needed because seeking a frame after this time usually does not work.
  • width: (Number) Width of the video in pixels. (Flash exporter 1.1 sets this to 0).
  • height: (Number) Height of the video in pixels. (Flash exporter 1.1 sets this to 0).
  • videodatarate: (Number) FLVMDI does not compute this value and imports it if present. (Defaults to 0).
  • audiodatarate: (Number) FLVMDI does not compute this value and imports it if present. (Defaults to 0).
  • framerate: (Number) FLVMDI computes this value, but uses imported value if not 0.
  • creationdate: (String) FLVMDI cannot compute this value and imports it if present. (Defaults to 'unknown').
  • filesize: (Number) Filesize in bytes (including the injected data).
  • videosize: (Number) Total size of video tags in the file in bytes.
  • audiosize: (Number) Total size of audio tags in the file in bytes.
  • datasize: (Number) Total size of data tags in the file in bytes.
  • metadatacreator: (String) Will be set to 'Manitu Group FLV MetaData Injector 2'.
  • metadatadate: (Date) Date and time metadata added. (Note that this is not of type string like 'creationdate').
  • xtradata: (string) Additional string data if specified.
  • videocodecid: (Number) Video codec ID number used in the FLV. (Sorenson H.263 =2, Screen Video =3, On2 VP6 = 4 and 5, Screen Video V2 = 6).
  • audiocodecid: (Number) Audio codec ID number used in the FLV. (Uncompressed = 0, ADPCM = 1, MP3 = 2, NellyMoser = 5 and 6).
  • audiodelay: (Number) Audio delay in seconds. Flash 8 encoder delays the video for better synch with audio (Audio and video does not start both at time 0, Video starts a bit later). This value is also important for Flash 8 Video Encoder injected Cue Points, because logical time of the cue points does not correspond to physical time they are inserted in the FLV. (Cue points are injected before encoding, when the video is shifted by 'audio delay' seconds, cue points are also shifted and their physical time in the FLV changes).
  • canSeekToEnd: (Boolean) True if the last video tag is a key frame and hence can be 'seek'ed.
  • keyframes: (Object) This object is added only if you specify the /k switch. 'keyframes' is known to FLVMDI and if /k switch is not specified, 'keyframes' object will be deleted.
    'keyframes' object has 2 arrays: 'filepositions' and 'times'. Both arrays have the same number of elements, which is equal to the number of key frames in the FLV. Values in times array are in 'seconds'. Each correspond to the timestamp of the n'th key frame. Values in filepositions array are in 'bytes'. Each correspond to the fileposition of the nth key frame video tag (which starts with byte tag type 9).


 

     

http://www.aistudy.co.kr/pioneer/pioneers_kor.htm 에서 퍼왔습니다.

===================================================================

  

강봉균 : 서울대 생명과학부 : 신경생물학, 학습과 기억    

강승식 : 국민대  자연언어 정보검색 연구실 : 자연언어 처리 (형태소, 구문, 의미분석, 중의성 해결, 태깅, 자연어 생성..)

강은주 : 서울대 의과대학 핵의학과 Cognitive NeuroImaging lab : 인지 신경과학, fMRI. PET 를 이용한 뇌연구

강태원 : 강릉대 AI lab : 인공생명, 인공지능, 신경망이론, 진화 알고리즘, 퍼지이론, 혼돈이론, 프랙탈

강환일 : 명지대 정보공학과 : 시계열예측 전문가시스템, 얼굴인식

강훈 : 중앙대  Soft Computing & 3D System lab : Fuzzy System and Control, Neural Network, Pattern Recognition ...

고창수 : 한성대 한국어문학부 교수 : 내추럴어프로치 대표,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구문 분석기  

고한석 : 고려대 II&SPL : speech/image signal processing for pattern recognition

공성곤 : 숭실대 전기제어 : 신경회로망, 퍼지시스템, 영상 데이터 압축, 적응 신호처리...

구하성 : 한서대 : 생체인식

권기호 : 성균관대 intelligence system :

권동수 : KAIST 기계공학과  Telerobotics & Control lab : telerobotic/haptic system, Haptic rendering  

권순학 : 영남대 ISAC lab : Fuzzy Space,  퍼지측도와 퍼지적분, 지능시스템 관련학회

권혁철 : 부산대 AI lab : 나라인포테크 대표, 인공지능 및 정보검색, 한국어 맞춤법/문법검사기

권영빈 : 중앙대 computer vision : 컴퓨터비전, 문자인식, 생체인식, 패턴인식

권영식 : 동국대 산업공학과 : 경영정보시스템, 전자상거래, 지능정보시스템

김경환 : 서강대 Man Machine Interface : 영상 신호 처리, 문자 인식, 패턴인식, 컴퓨터비전

김기태 : 중앙대 컴퓨터 :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 지능형에이전트

김낙훈 : 동덕여대 전자계산과 : 지능형 교육시스템(Intelligent Tutoring Systems), 인공지능

김대수 : 한신대 Intelligent lab : AI, 신경망, 퍼지이론, 지능시스템

김대원 : 명지대 로봇(RISL) : 시스템 설계 및 성능분석, 개인용로봇(Personal Robot)...

김대진 : 포항공대 intelligent multimedia : Intelligent Techniques, Biometric, 영상처리

김도형 : 성신여대 컴퓨터 정보학부 :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 컴파일러 구성, 논리 프로그래밍

김동성 : 숭실대 영상이해 : Medical/general Image segmentation,  Face recogntion

김명원 : 숭실대 BI lab : 신경회로망, 인공지능(자동추론, 기계학습), 패턴인식, 퍼지시스템

김문현 : 성균관대 인공지능 연구실 : 인공지능

김민구 : 아주대 정보 및 컴퓨터공학부 : 인공지능, 지식표현, 비단순 추론, 전문가시스템

김민식 : 연세대 심리학 인지실험 : 인지과학, 시각정보처리

김병국 : KAIST(real time control) : 제어공학, 로봇공학, 컴퓨터구조

김병수 : 한울로보틱스 : 퍼스널로봇

김병수 : 로보티즈 : 지능형 토이로봇

김병천 : KAIST 경영정책학과 : 데이터마이닝

김삼묘 : 경북대 bioinformatics : 알고리즘 설계, 병렬처리, 오토마타 이론, 계산생물

김상운 : 명지대 컴퓨터 : 패턴인식 및 학습, 미디어공학

김성대 : KAIST(visual) : 영상통신, Computer Vision, 영상처리

김성식 : 한국교원대 컴퓨터교육학과 : 인공지능, 원격교육, CAI, ICAI

김순협 : 광운대 컴퓨터 : 음성인식

김승우 : 뉴로스 : 비행로봇

김승호 : 한국원자력연구소 : 극한환경의 작업로봇

김신환 : 대구대 image processing : image processing, image coding

김영정 : 서울대 철학과 : 심리철학, 논리학

김영택 : 서울대 컴퓨터 : 자동기계번역. LnTech 대표

김용기 : 경상대 AI lab : Knowledge-Based System, Fuzzy,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수중로봇)

김용철 : 서울시립대 computer vision lab : 컴퓨터 비전 및 영상 처리

김유신 : 부산대 AI lab : 과학철학, 인공지능

김일곤 : 경북대 지능정보연구실 : 인공지능, 의료정보, 분산시스템

김재권 : Brown 대학 철학과 : Philosophy of Mind, Metaphysics, Action Theory, Philosophy of Science

김재련 : 한양대 MIS lab : Database, Data Mining, Expert System, Simulation

김재희 : 연세대 Computer Vision : 패턴인식, 컴퓨터비전, 생체인식, 인공지능, 전문가시스템

김정오 : 서울대 심리학과 : 지각심리학, 형태지각, 색지각 및 주의과정, 한글정보처리, 단어재인  

김정하 : 국민대 Mechatronics lab : 로보틱스, 자동차 전자제어 시스템, 무인 자동차, 생산 자동화

김종완 : 대구대 컴퓨터정보공학부 : 인공지능, 지능형 에이전트, 뉴로퍼지 시스템

김종환 : KAIST Robot Intelligence Tech : MRDEC 원장, 로봇축구의 대부, 지능제어, 로봇제어

김준태 : 동국대 AI lab : Intelligent Agent, Machine Learning, Data Mining, Information Retrieval on the Web

김진걸 : 인하대 control & robotics : 비선형제어, 로보틱스

김진형 : KAIST AI lab : 필기인식기술. 신경망과 히든마코브모델을 이용한 패턴인식

김태완 : 인제대 언어처리 연구실 : 자연언어처리ㆍ자동번역ㆍ정보검색

김학일 : 인하대 신호및 정보공학 : 패턴인식, 컴퓨터비젼, 해양 GIS/GPS 응용, 자율주행로봇

김항준 : 경북대 AI lab : Pattern Recogn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HMM, Neural Network

김현수 : 동아대 경영정보학과 : 전문가시스템, 전자상거래, 데이터마이닝....

김형순 : 부산대 speech lab : 음성인식, 음성합성, 국내 최초의 상품화된 음성합성 시스템 ‘가라사대’

김홍종 : 서울대 수리과학부 : 문명과 수학   현대 수학 입문

김화수 : 국방대학원 전산학과 : 전문가시스템

김황수 : 경북대 CIMVL : Computational Intelligence, Machine Vision, 신경망, 계산기 구조

김회린 : 정보통신대학원대학 speech lab : 음성인식, 화자인식, 국내최초 PC기반 ARS 시스템의 상용화, 대화체 음성언어 번역

김회율 : 한양대 vision : 영상처리 및 컴퓨터비젼

김희승 : 서울시립대 컴퓨터통계학과 : 영상인식, 컴퓨터비젼, 전산기구조

남기곤 : 부산대 computer vision lab : 컴퓨터비전, 패턴인식

도용태 : 대구대 robot & intelligent system : Stereo Vision Systems, Counting People from Image Sequences, Ultrasonic Ranging

문병로 : 서울대 Optimization lab : optimization, algorithm design, genetic algorithms, complex systems

박광호 : 한양대 경영학부 : MIS, 전문가시스템

박규태 : 전 연세대 : 생체인식의 원조

박대희 : 고려대 : DB & Fuzzy System lab : 퍼지이론 및 응용, 신경망, 최적화이론, 유전알고리즘, 데이타마이닝

박동조 : KAIST 정보처리 : 적응신호처리, 신경망, Fuzzy, 위성자세제어, Navigation System

박동철 : 명지대 ICRL : 새로운 신경망 알고리즘 개발,  신경망 응용

박래홍 : 서강대 Image Processing : 컴퓨터비전, 패턴인식, video communication

박민용 : 연세대 Intelligent Control : 퍼지 및 지능제어 알고리즘, 매니퓰레이터제어, 이동로봇제어, 얼굴인식, 신과학, 의용전자공학

박상규 : ETRI 휴먼정보처리연구부 : 다국어 자동번역 기술과제, 정보검색 등 언어정보처리

박성주 : 유진로보틱스 연구소 : 가정교사로봇 페가수스

박승수 : 이화여대 AI lab : 인공지능, Agent, Data mining, Bioinformatics

박세영 : 서치캐스트 대표 : 자연어처리, 멀티미디어 검색

박영태 :  경희대 vision : 컴퓨터 비젼, 패턴인식, ITS, 신경회로망 학습이론

박영택 : 숭실대 AI lab : 지능형 에이전트, 웹 에이전트, 모바일 에이전트, 전문가시스템

박우석 : KAIST 인문사회과학부 : 바둑철학  

박종국 : 경희대 automatic control : 자동제어, 퍼지, 로봇

박종수 : 성신여대 컴퓨터 : 데이터마이닝, 연관규칙 및 순차패턴 탐사, 클러스터링

박종철 : KAIST nlp : Computational Linguistic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박종희 : 경북대 AIMM : 데이터베이스,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산처리, 멀티미디어

박찬웅 : 서울대 의과대학 의학연구원 : 신경과학, 뇌

박창균 : 서경대학교 철학과 : 수리철학, 퍼지

박창현 : 영남대 AIIIS lab : 인공지능 (지식기반 시스템, 계획, 기계학습), 지능정보처리

박철훈 : KAIST 신경망 기계지능 : 신경회로망, 퍼지이론, 유전알고리즘, 지능정보처리

박현욱 : KAIST image computing : 영상처리 및 시스템, 의료영상시스템, 영상통신

방승양 : 포항공대 intelligent multimedia : 신경망, 문자인식, 시각정보처리

배건성 : 경북대 Mind-Machine Interaction Research lab : 음성인식, 음성코딩, 디지털 신호처리, 적응신호처리, VoIP

배명진 : 숭실대 Speech Communication lab : 음성인식, 음성합성, 음성코딩

백은옥 : LG종합기술원 : 인공지능

변증남 : KAIST 시스템 제어 : Fault-tolerant 제어이론, Fuzzy & Intelligent 제어, 국제 퍼지 학회 (IFSA) President-Elect

변혜란 : 연세대 Visual : Image Processing, Computer Vision, Pattern Recognition

서영훈 : 충북대 자연언어처리 연구실 :  자연언어처리(한국어 분석, 기계번역), 음성인식, 자동색인, 프로그래밍 언어

서정연 : 서강대 NLP lab : 자연어처리, 다이퀘스트닷컴 설립, 국내 최초 차세대 지능형 질의응답 및 정보검색 솔루션개발

성학경 : 삼성전자지능시스템 연구소 : 차세대 퍼스널 로봇

소광희 : 서울대 철학과 : 기호논리학, 형이상학, 존재론

소영성 : 명지대 정보공학과 : 컴퓨터비전, 패턴인식, 영상처리

송용욱 : 연세대 경영정보학 : 전문가시스템, 전자상거래, MIS,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송태경 : 서강대(Medical Image Research Center) : Medical ultrasound imag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신경식 : 이화여대 정보기술응용 연구실 : AI 응용, Knowledge engineering, Decision Support systems

신현정 : 부산대 심리학과 : 인지심리학, Concept and categorization, Lexical processing  

심광섭 : 성신여대 컴퓨터정보학부 : 정보검색, 기계번역, 문서 요약, 문서 분류, 구문 분석, 띄어쓰기, 형태소 분석, 사전구축

심귀보 : 중앙대 인공생명 lab : 로보틱스 및 지능정보시스템

심규석 : 서울대 KDD lab : 데이터마이닝, Knowledge Discovery, XML, Query Processing, Data Warehousing, OLAP

심재창 : 안동대 vision lab : 패턴인식, 영상처리, 3D-컴퓨터비전

안수길 : 서울대 명예교수 : 음성정보처리, 한민족의 우수성 연구, IEEE korea, IEE korea

양병곤 : 동의대 영문과 : Acoustics, Auditory Phonetics, Articulatory Phonetics, Speech Synthesis, Speech Therapy

양현승 : KAIST AI & Media : 휴먼 로봇, 컴퓨터비전, 가상현실

양황규 : 동서대 Game & Multimedia  : Neural Network    Computer Vision & Image Processing

여인택 : 현대중공업 기계전기연구소 : 산업용 로봇

염영일 : 포항공대 로봇 * 의공기전 연구실 : 생체공학, 로보틱스

오경환 : 서강대 AI lab : 인공지능, 지능형 정보검색 에이전트, 멀티에이전트

오길록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소프트웨어공학, 퍼지

오성권 : 원광대 제어계측 : 시스템 자동화, 계산지능, 퍼지논리 및 신경망 응용, 지능제어

오세영 : 포항공대 intelligent robot : 신경망 컴퓨터, 로보틱스

오영환 : KAIST 음성언어 : 보이스피아 대표, 음성인식, 음성합성.........

오창석 : 충북대 network lab : 컴퓨터네트워크, 뉴로컴퓨터

옥철영 : 울산대 한국어처리 연구실 : 자연언어처리, 정보검색, 기계번역, 기계학습

용환승 : 이화여대 DB lab : 데이터마이닝

원상철 : 포항공대 control : 자동제어, 로보틱스

유광렬 : 부산대 AI lab : Machine Learning, Data Mining, Intelligent Scheduling, Constraint Satisfaction Search...

유기영 : 경북대 컴퓨터공학과 : 지문인식

유석인 : 서울대 AI lab : AI, Computer Vision, Machine Learning, DataBase

윤대희 : 연세대 signal processing : 음성 신호처리 (음성 부호화, 음성 변조, 음성 인식), 적응 신호처리...

윤병주 : 명지대 컴퓨터 : 인공지능, 기계학습, 소프트컴퓨팅, 지능형교육시스템

윤보현 : ETRI 휴먼정보처리연구부 지식처리팀 : 텍스트마이닝, 정보검색, 정보추출, 클러스터링

윤준보 : KAIST integrated microsystems : MEMS / NEMS, 3차원 마이크로-나노 구조체 기술

은종관 : 디지털 음성처리 및 한국어 음성인식, 음성 다이얼링 전화기, 음성우편 시스템 개발

이건명 : 충북대 MAIS lab : 퍼지 전문가시스템, 퍼지 지식베이스 시스템

이건창 : 성균관대 지능정보센터 : MIS, 의사결정지원, 지능형에이전트, 퍼지, 신경망 이용 전문가시스템

이경일 : 시스메타 대표 : 일한번역기 ‘오경박사’, 인터넷 실시간 일한 번역기 ‘바벨’, 대화 처리 시스템, 다국어 자동 번역기, 다국어 채팅서버, ALES demo

이광형 : KAIST bio information lab : 퍼지, 정보보안

이근배 : 포항공대 자연어처리 : 자연어처리, intelligent agent, text-based 정보검색, TTS

이문기 : 연세대 VLSI & CAD lab :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디지털 신호처리 칩 설계, 센서 설계, CAD 개발, ASIC 회로 설계

이민행 : 연세대 독어독문학과 : 이론 언어학, 전산 언어학

이민호 : 경북대 Artificial Brain : 신경망, 신호처리, 지능시스템

이범희 : 서울대 RISL : motion planning and control of robot manipulators, robot......

이병기 : 포항공대 intelligent information : Similarity Search, Data Mining, Data Warehouse

이복주 : 단국대 AI lab : 기계학습, 데이터마이닝, 정보검색, 유전자 알고리즘 ......

이상욱 : 서울대 SPL : Image & signal processing, Computer vision

이상조 : 경북대 자연어처리 : 자연어 처리, 기계번역, 운영체제,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이상배 : 한국해양대 전자통신공학과 : Fuzzy-Control System, Fuzzy-Neuro Control, Neural Network

이석한 : 삼성종합기술원 : MEMS, 저장기기, 로보틱스

이성환 : 고려대 컴퓨터비전 : 컴퓨터비전, 영상정보처리, 생체인식, 패턴인식,

이수영 : KAIST 계산 및 신경시스템 연구실 : 신경회로망 이론, 응용 및 VLSI 구현, 신호처리 및 지능제어

이수원 : 숭실대 Mining lab : 데이터마이닝, CRM, 에이전트, 인공지능

이양희 : 동덕여대 전자계산과 : 한국어 음성합성

이영조 : 서울대 통계학과 : 데이터마이닝, 일반화선형모형, 생물통계

이용구 : 중앙대 통계학과 : 데이터마이닝

이원택 : 연세대 신경해부학 조직학 홈페이지 : 의학 신경 해부학   Neuroanatomy

이윤배 : 조선대 컴퓨터공학부 : 인공지능(AGV : Autonomous Guided Vehicle)

이일병 : 연세대 인공지능 연구실 : 필기체문자인식, computational model of vision, 생체인식

이재규 :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 전문가시스템, 전자상거래, 경영정보시스템

이재식 : 아주대 경영학부 : MIS에 AI 응용, 전문가시스템, 지능적 의사결정, MIS, 데이터마이닝

이재호 : 서울시립대 AI lab : 인공지능, Agent Systems, Distributed AI, Intelligent Systems

이전영 : 포항공대 intelligent information : Data Mining, Data Warehouse....

이정모 : 성균관대 심리학 & 인지과학 : 인지심리학, 인지과학

이정민 : 서울대 언어학과 : 언어학, 인지과학  

이정현: 인하대 컴퓨터 : 자연언어 처리, HCI

이종혁 : 포항공대 knowledge & language : 자연어처리, 한글공학, 기계번역, Cross Language IR..

이종호 : 인하대 정보통신공학부 : VLSI, 신경망

이주장 : KAIST human intelligence : 인공생명을 이용한 비서/동반자 로봇.....

이준재 : 동서대 Game & Multimedia : 생체인식 보안시스템, 실시간 지문 인식 알고리즘(삼원테크)

이준호 : 성균관대 vision : 컴퓨터비전

이준화 : 서울시립대 CCSL :  제어 이론과 응용, 영상처리

이진수 : 포항공대 robot&automation :  Iterative Learning Control, Intelligent Control,  Robotics

이쾌희 : 서강대 robot & vision : control, robotics, computer vision

이태욱 : 한국교원대 컴퓨터교육학과 : 지식공학, 저작도구,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이초식 : 고려대 철학과 : 인공지능의 철학, 과학철학

이춘열 : 국민대 정보관리학부 : 데이터마이닝

이필규 : 인하대 intelligent media : Machine Learning, Fault-Tolerant Computing

이현수 : 경희대 Computer Architecture Neural Network : 컴퓨터구조, 신경망, 음성인식

임준식 : 경원대 AI lab : 인공지능, VLSI 설계, 음성인식, intelligent agent

임해창 : 고려대 자연어처리 : 자연어처리, 한글공학, 정보검색

장병탁 : 서울대 컴퓨터 : 바이오 인텔리전스, 인공지능, 생명공학 데이터 분석

전명근 : 충북대 지능자동화 연구실 : Intelligent Automation System, Speaker Recognition, Biometrics, Machine Vision

전재욱 : 성균관대(automation) : 로봇공학

전종우 : 서울대 통계학과 : 확률이론과 그 응용 (Communication Network and Reliability), Survey Design, 데이터마이닝

전홍태 : 중앙대 지능시스템 및 휴먼로봇 : 제어로보틱스, 신경망, 진화연산, 유전 알고리즌, 퍼지

정동석 : 인하대 multimedia : Machine Vision, Image Coding, Video and Image Databases

정명진 : KAIST 로봇 : robot path planning, telerobot control, multi sensor fusion, robust control

정민화 : 서강대 음성언어처리 : 음성인식의 활용, 음성인식 기술과 자연어처리 기술 통합, 한국어 음성인식....

정익주 : 강원대 : 국내 최초의 상용 음성인식 소프트웨어 ‘보이스액세스’, 디엔엠테크놀로지 대표이사

정인정 : 고려대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 lab : 시맨틱 웹, 지능형 웹 서비스, 정보검색, 데이터 마이닝 ....

정태충 : 경희대 intelligent system :

기계학습, 유전자 알고리즘, 전문가 시스템, 휴리스틱 탐색

정찬섭 : 연세대 심리학과 vision lab : 인지과학, 시각 정보의 단계적 특징 추출 분석.......  

정현열 : 영남대 speech lab : 음성분석, 음성인식, Multimedia Data Composition, Coding & DSP Tech

정 홍 : 포항공대 전자전기공학과 : 신경망

정환묵 : 대구카톨릭대 지능정보시스템 lab : 컴퓨터 구조, 인공지능, 지능정보공학

조근식 : 인하대 Intelligent E-commerse ; 전자계산과 : 지식기반스케줄링, 제약조건해결시스템, 전문가시스템

조명한 : 서울대 심리학과 : 인지심리학, 언어심리학  

조범준 : 조선대 컴퓨터공학부 : 인공지능, 패턴인식

조성배 : 연세대 softcomputing : 신경망, 패턴인식, 진화연산, 인공생명

조성준 : 서울대 산업공학과 data mining lab : Data Mining, 신경망, Intelligent Systems

조용범 : 건국대 전자공학부 : 신경망, VLSI design  

조형제 : 동국대 MCV : 형태인식(문자, 음성, 지문...), 압축, 그래픽스, 컴퓨터 비젼

조충호 : 고려대 Network lab : Network Traffic Analysis, Wireless ATM, Mobile Network, Intelligent Agent .....

주석진 : 경기대 경영정보학과 : e-비즈니스, 정보시스템 설계, 지능정보시스템

차의영 : 부산대 Neural Network & Real World lab : 신경망, 컴퓨터비전

차일환 : 연세대 signal processing : 소음진동, 건축음향, 전기음향, 오디오 신호처리, 음성 신호처리 (음성 부호화, 음성 변조, 음성 인식), 레이다 및 소나 신호처리, 적응 신호처리

채영문 : 연세대 보건정보관리학과 : 전문가시스템, 보건정보관리, 연구방법

채옥삼 : 경희대 multimedia : 이동물체 검출과 추적, 카메라 이미지를 이용한 한글인식, 영상처리

채흥석 : 엘엔아이소프트 연구소 : 영한, 한영 자동번역기

최기선 : KAIST computer systems : NLP : 한글공학, 자연언어처리, 기계번역

최대우 : 한국외국어대 정보통계학과 : 확률부등식, 잠재특성모형, 데이터마이닝, 데마귀 - freechal community

최병재 : 대구대 intelligent control : Intelligent Control, Robust Control, Adaptive Control

최성종 : 서울시립대 multimedia : 멀티미디어, 의료정보

최승권 : ETRI 휴먼정보처리연구부 언어처리연구팀 : 영한·한영 텍스트 자동번역

최승진 : 포항공대 intelligent multimedia : Probabilistic/Statistical Learning, 신경망.....

최영규 : 부산대 robotics & intelligent control : 제어 및 계측분야

최우영 : 명지대 computer vision lab : 영상처리 및 컴퓨터비젼  

최종수 : 중앙대학교 전자공학과 : 인공지능, 영상정보처리

최종욱 : 상명대 소프트웨어전공 :

최진영 : 서울대 ICCL : Intelligent Computing and control (Neural / Evolutionary, Learning)

최중민 : 한양대 : 인공지능, 지능형 에이전트, 웹 정보검색, 데이터마이닝

최형일 : 숭실대 컴퓨터비전 : 컴퓨터비전, 패턴인식

최형림 : 동아대 경영정보학과 : 경영정보, 전문가시스템

최환수 : 명지대 정보제어공학과 : 정맥인식

최흥국 : 아주대(Medical Image Tech Lab) : 의료 영상처리 및 분석

하석운 : 경상대 Neuro Vision lab : 신경망, 영상처리를 이용한 수중물체 자동인식과 경고 시스템

한민수 : 정보통신대학 SAILab : 음성 부호화 분석, 합성 및 인식, 음향 부호화 및 3-D 음향......

한인구 : KAIST 재무정보시스템 연구실 : 회계 정보 시스템, 도산예측, 신용평가, 주가/이자율 예측

한준희 : 포항공대 컴퓨터비전 : Computer Vision, Pattern Recognition, Fuzzy in Vision.

한헌수 : 숭실대 vision lab : 로봇비전, 자동화시스템, 자료융합, 물체인식

홍광석 : 성균관대 human computer interface : 음성인식

홍기상 : 포항공대 image processing : Computer Vision and Image Processing

홍대식 : 연세대 정보통신 : 신경망 알고리듬 개발, 신경망의 신호처리 와 통신시스템에 응용

홍승홍 : 인하대 BISE : 의용생체공학

홍재근 : 경북대 음성신호처리 연구실 : 음성인식, 음성코딩과 합성, 음질향상, 신호처리 시스템 개발

황도삼 : 영남대 자연어처리 연구실 : 자연언어처리, 기계번역, 전자사전

황종선 : 고려대 컴퓨터 : Fault  Tolerance & Mobile Agent Computing, Mobile Computing

황희수 : 한라대 전기전자제어공학부 : 지능제어, 예측/데이터마이닝, 패턴인식, 창의성 사고 기술 적용, 진화계산

[출처] 국내의 AI 황제들 |작성자 scaarian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