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HDD 디스크의 low level 상에서의 동작 원리 일부 정리 내용
아직까지는 저장매체 중에 대표적인 장치는 단연 고용량 + 저가의 HDD 입니다.
flash chip 가격대 용량비가 점점 경쟁력이 있어지는 바람에 SSD(Solid State Drive) 가 곧 HDD를 대체 하겠죠.
"Sector Sparing"은
로우레벨 상에서 HDD 디스크 상에 결함이 있는 섹터가 있을 때
이를 감추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여분의 섹터 하나를 선택, 결함이 있는 섹터에 있는 정보를 extra sector에 relocation.
사용자(운영체제)는 무결한 HDD Disk를 사용하는 것 처럼 느끼게 하도록 기묘하게 숨기는 기법입니다.
테스트를 하는 동안 발견되는 불량 섹터는 컨트롤러 안에 들어가도록 프로그램화 합니다.
이후에 해당 섹터에 접근하면 extra sector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죠.
그대로의 저장용량 사용 + 사용자가 배드 섹터를 알 수 있음
VS
저장용량 희생 + (무결한 것 처럼 포장하는) 상업 전략
의 2가지 선택에서 업체들은 후자를 선택했군요.
만약 전자를 택했다면,,, 소비자는 처음 HDD를 사자마자 bad 섹터를 접할 수 있겠죠,,
소비자가 구입한 이후 생겨나는 베드 섹터 처리 방법은 2가지입니다.
1. OS단에서 디스크 검사 이후 베트 섹터 부분을 접근하지 않도록 마킹.
2. Low lovel 형태로 다시 각 트렉을 스캔한 다음 HDD의 컨트롤러에서 예비 섹터로 접근하도록 배치.
유사한 방법으로,
NAND Flash 와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에
Bad Block에 대비하기 위한 각 Section 사이에 여분의 Block을 두는 방법을 씁니다.
참고서적 : 하드디스크 이해 (Toward Understanding Hard Disk)
(주)명정보기술 이홍재 편저
전자신문사 발행
- ( 작성 중 ) -